스트리밍 2

[WebRTC] Kurento를 사용하여 실시간 스트리밍하기

Kurento client를 활용하여 one2many call의 흐름을 익혀보자 대략적인 그림으로 그려보면, 1명의 스트리머가 있고 N명의 Viewer들이 존재하는 아래와 같은 그림일 것이다. 대략적인 서버의 구성은 아래의 그림과 같다. 이제 본격적으로 어떤 흐름으로 1:N 스트리밍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Presenter가 방송 켰을 때 1. Client가 웹에 들어오면 웹소켓으로 시그널링 서버와 연결을 한다. 2. 스트리머가 스트리밍 시작 버튼을 누르면, JSON형태로 id와 sdpOffer정보를 시그널링서버에 보낸다. 스트리머가 다른 방송을 보고 있는지 또는 다른 방송을 키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해야 함 id는 WebSocket통신을 할 때, 어떤 메세지를 담고 있는지 구별해주는 id 이다. Pre..

WebRTC 2021.01.25

[WebRTC] WebRTC를 공부하며 스트리밍 과정 익히기

유튜브 플랫폼에서 구독자와 소통하기 위해 라이브 방송을 킨다고 가정해보자. 스트리밍을 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하는 것은 웹/앱에 연결된 카메라, 마이크 등에 연결을 해야한다. (카메라, 마이크가 연결되지 않으면 스트리밍을 하는 의미가 없어진다.) 그렇다면, 어떻게 연결할 수 있을까? 연결과정을 알아보자. 1. WebRTC와 미디어 장치 1-1. 미디어 장치와 연결하기 [1] 제약조건에 맞는 카메라, 마이크를 선택해준다. const openMediaDevices = async (constraints) => { return await navigator.mediaDevices.getUserMedia(constraints); } try { const stream = openMediaDevices({'video..

WebRTC 2021.01.16